728x90
정적타입언어는 변수 선언 시점에 타입이 결정되고 변수의 타입을 변경 할 수 없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값을 할당하는 시점에 변수의 타입이 동적으로 결정된다.
또한 재할당에 의해 변수의 타입은 언제든지 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동적타입언어라고 한다.
//대표적인 동적타입언어: 자바스크립트, 파이썬, PHP , 루비, 리스프 ,펄 등이 있다.
다시 정리하자면 변수는 타입을 가지지않고 값은 타입을 갖는다. 따라서 현재 변수에 할당되어 있는 값에 의해 변수 타입이 동적으로 결정된다고 하는 것이 적절하다.
동적타입언어의 단점
동적타입언어의 변수는 값의 변경에 의해 타입도 언제든지 변경 될 수있다. 따라서 동적타입언어의 변수는 값을 확인하기 전에는 타입을 확신 할 수 없다.
자바스크립트는 암묵적으로 타입이 자동으로 변환되기 도 하기 때문에 숫자타입의 변수라고 예측했지만 사실은 문자열 타입의 변수 일 수도있다. 잘못된 예측에 의해 작성된 프로그램은 오류를 뿜어낸다.
동적타입 언어를 잘 이용하기위해서는
변수의 스코프(유효범위)를 최대한 좁게 만들어 변수의 부작용을 억제해야한다.
전역변수는 최대한 사용하지 않도록한다.
변수보다는 상수를 사용해 값의 변경을 억제한다.
변수이름을 목적이나 의미를 파악 할 수있도록 네이밍한다.
코드는 동작하는 것 뿐만이 아니라 개발자를 위한 문서이기 때문에 개발자가 이해하기 쉽게 코딩 해야한다.
'코딩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20 공부 (0) | 2021.10.20 |
---|---|
MATH 메소드 (0) | 2021.10.16 |
객체에서 사용하는 메서드 (0) | 2021.10.14 |
생성자 함수: 붕어빵 틀 (0) | 2021.10.14 |
변수3-var , let , const (0) | 2021.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