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15)
안정적인 사람이 되기위해서 감정의 배설을 하라 그때 그때 표현해야 1.쌓이지 않고 내 속이 편해지고 2.상대방이 무례해지는 것을 막을 수있다. 명예를 벗어나기위한 여정 책 보기 불행한 과계 걷어차기 보기
협상의 이해 1.설득하는데있어서는 논리적, 이성적 보다는 감성적,감정적 어필이 의외로 먹힌다. 매우 똑똑해도 설득력이 약한 사람이 많음 --> 자기가 좋아하는 사람에대한 말은 신뢰도가 높기 때문에 나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주자. 2.솔직해지자 솔직한 사람에게 편안한 마음이 들 수밖에없다. 3.상대방에게 인정을 잘 해주자. 인정받고싶은 욕구는 사람의 기본적인 본성이며 나 또한 누군가가 나의 어떤 모습을 진심으로 인정한다면 마음이 좋아진다. 생각보다 사람들이 인정에대해 인색하다 4.상대방의 머릿속 지도를 떠올려라 상대방의 감정상태, 영향주는 것 결핍등 내가 필요한 요구,욕구를 늘여놓기전에 상대방의 욕구를 살펴라 5.상대방과 나의 플랜B를 따져라 나는 너 아니어도 돼 너말고 다른 사람에게 부탁하면 돼라는 태도는 상대..
MATH 메소드 toFixed() userRate.toFixed(2);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둘째자리까지 표현 주의 문자열로 반환함! isNaN NaN을 유일하게 판별하는 식 NaN == NaN // false parseInt 문자열을 숫자열로 변환 문자가 혼용되어있어도 숫자로 반환 (Number와 다른점) 단, 숫자로 시작해야함 parseInt(Xxx,16) 16진수로 변환 parseFloat 부동소숫점까지 숫자로반환 Math.random 0~1사이의 랜덤의 숫자 1~100까지 숫자를 얻고싶다? math.floor(math.random()*100)+1 //math.floor: 소숫점 이하 내림 100을 5로 바꾸면 1~5까지의 랜덤한 숫자를 얻을 수 있음 Math.abs 절대값 Math.pow(n,m) 제곱 Math..
동적타입언어 정적타입언어는 변수 선언 시점에 타입이 결정되고 변수의 타입을 변경 할 수 없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값을 할당하는 시점에 변수의 타입이 동적으로 결정된다. 또한 재할당에 의해 변수의 타입은 언제든지 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동적타입언어라고 한다. //대표적인 동적타입언어: 자바스크립트, 파이썬, PHP , 루비, 리스프 ,펄 등이 있다. 다시 정리하자면 변수는 타입을 가지지않고 값은 타입을 갖는다. 따라서 현재 변수에 할당되어 있는 값에 의해 변수 타입이 동적으로 결정된다고 하는 것이 적절하다. 동적타입언어의 단점 동적타입언어의 변수는 값의 변경에 의해 타입도 언제든지 변경 될 수있다. 따라서 동적타입언어의 변수는 값을 확인하기 전에는 타입을 확신 할 수 없다. 자바스크립트는 암묵적으로 타..
객체에서 사용하는 메서드 Object.assign() 객체 복제 Object.keys() 키 배열 반환 //객체의 키들이 배열로 반환 됨 Object.values() 값 배열 반환 // 객체의 값들이 배열로 반환 됨 Object.entries() 키 / 값 배열 반환 //객체의 키/값 쌍으로 묶여 배열로 반환됨 Object.fromEntries(): 키/값 배열을 객체로 const newUser = object.assign({ }, user) // { }는 초기값 , 두번째 매개변수부터 들어온 객체가 병합 됨 const newUser = object.assign({ gender: 'female'}, user, user2) Object.keys(user) Object.entries(user) // 키,값을 배열로 ["name","..
생성자 함수: 붕어빵 틀 회원, 상품 등 비슷한 객체를 여러번 사용 해야할 때, 붕어빵 틀같은 존재 --> 생성자함수 함수 첫 글자는 대문자로 function User( name, age ){ this. age = age; this. name = name; } let user1 = new User(30,'Jane'); // new로 호출 let user2 = new User(20,'Mike'); let user3 = new User(40,'Tom'); 작동원리 new 함수명 (); 실행하면 function User( name, age){ this = { } // this에 빈 객체를 만들고 this.name = name; // 새로운 프로퍼티를 this에 추가 tihs.age = age; return this; // this가 ..
변수3-var , let , const hoisting: 스코프 내부 어디에서든 변수 선언은 최상위에 선언 된 것처럼 행동 let, const도 호이스팅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수 선언 및 할당보다 먼저 참조를 하면 var와 같이 undefined가 찍히지않고 에러가 나는이유는? -->TDZ (Temporal Dead Zone) 때문에 호이스팅은 스코프단위로 이루어진다. 변수의 생성과정 1.선언 단계 2.초기화 단계 3.할당 단계 var 1.선언과 초기화단계(undefined 할당) 2.할당 단계 let 1.선언단계 2.초기화단계 3.할당단계 호이스팅되면서 선언단계가 이루어지지만, 초기화 단계는 실제 코드에 도달했을 때 이루어지기 때문에 참조를 먼저하면(변수선언,할당보다 먼저 하면) 레퍼런스에러가난다. const 1.선언 + 초기화 + 할..
폰트에 그라디언트 넣기 background: linear-gradient(to left top , #75019a, c44a8 ); // 직선 형태의 그라디언트 기본형태 -webkit-background-clip: text; // 백그라운드 적용: 텍스트에만 color: transparent; // 그라디언트 보여주려면 텍스트를 투명하게 해야함